생활정보

· 생활정보
법제처는 청년 등이 취업하거나 자격을 취득할 때 필요한 실무경력의 인정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이 담긴 32개 대통령령의 일괄개정안이 지난해 8월 2일 국무회의에서 의결됐다고 밝혔다. 일괄개정안에 포함된 「유아교육법 시행령」 등 32개의 대통령령은 2022년 8월 9일 공포와 동시에 시행된다. 이번 개정은 새 정부 120대 국정과제의 세부 실천과제인 ‘청년 경제활동 촉진을 위한 법제도 발굴 개선’에 포함된 사항으로, 일과 학업을 병행하거나 먼저 취업한 후 나중에 진학하는 청년 등의 구직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취업하거나 자격을 취득할 때 필요한 실무경력의 인정 범위를 확대하는 내용으로 법제처가 주도하여 일괄정비를 진행했다. 개정안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유치원 강사 및 기간제 교사 등이 되기 위해 필요한 실무경력..
· 생활정보
2023년은 육십 간지의 40번째로 계(癸)는 흑색,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는 '검은 토끼의 해'라고 불리는 계묘년입니다. 그리고 새해에도 많은 분들이 2023년에 대한 기대감과 한편으로 걱정과 더불어서 운세에 대한 관심을 갖고 있을텐데요. 이번 포스팅은 2023년 계묘년 띠별 신년 운세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쥐띠 지금까지 뿌려 놓았던 씨앗의 결실을 거둬들일 수 있고 어느 정도의 성과를 기대할 수 있는 한 해이나, 순식간에 흘러갈 수 있으니 성급한 판단과 과욕은 금물입니다. 매사에 순리대로 하나씩 거둔다는 마음으로 임하는 것이 좋다고 합니다. 소띠 소띠 경우는 2023년 후반으로 가면 갈수록 운이 보다 좋아지는 한해입니다. 그런데 정작 운이 좋아지는 현상을 보고 반대로 생각하여 운이 안 좋아지..
· 생활정보
2023년은 일요일로 시작하는 평년입니다. 그리고 육십 간지의 40번째로 계(癸)는 흑색, 묘(卯)는 토끼를 의미하는 '검은 토끼의 해'라고 불리는 계묘년의 시작이기도 합니다. 그리고 올해는 얼마나 쉴 수 있을지 궁금해할 것 같아 이번 포스팅에 간단한 소개해 드겠습니다. 1. 월별 공휴일 한 장으로 알아보는 2023 공휴일! 올해 공휴일은 작년과 같이 총 67일입니다. 주말과 대체공휴일을 포함한 주 5일제 근무자의 휴일은 총 116일로 작년보다 2일 적는 해 입니다. [1월] - 1/1(일) 양력설 - 1/21 ~ 1/23(토~월) 설 연휴 - 1/24(화) 대체공휴일 [2월] 없음 [3월] - 3/1(수) 3·1절 [4월] 없음 [5월] - 5/5(금) 어린이날 - 5/27(토) 석가탄신일 [6월] -..
· 생활정보
추운 겨울철에는 실내에서 생활하는 시간이 늘어나게 됩니다. 그만큼 실내공간의 공기질 관리가 중요한 시기이기도 하죠. 때문에 이번 포스팅은 겨울철 쾌적한 실내 공기질 유지를 위해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환기 ‘환기’는 실내 공기질을 쾌적하게 하는 가장 중요한 방법 중 하나입니다. 통상적으로 실내에서 발생하고 축적되는 오염물질을 실외로 배출해 제거하거나 희석하는 것을 말하는데요. 환기의 방법에는 실내 공간 전체를 대상으로 하는 ‘전체환기’와 오염물질이 발생하는 지점을 대상으로 하는 ‘국소환기’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2 전체환기 전체환기 방법은 주택 내 창문을 열어 실시하는 ‘자연환기’와 환기 설비를 이용해 실시하는 환기로 구분됩니다. 창문을 이용한 자연환기는 가장 손쉽고 효과적인 ..
· 생활정보
지난 11월 17일 윤석열 정부의 노동시장 개혁안을 마련해온 전문가 논의기구 '미래노동시장 연구회'가 주 52시간제 유연화 등을 골자로 하는 권고문을 발표한 데 대해 12월 13일 고용노동부 장관이 전폭적으로 수용하겠다는 입장을 밝혔습니다.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전문가들이 권고한 연장근로 개편안이 무엇인지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연장근로 개편 이유 주 52시간제의 기존 방침은 유지하되 현재 1주 12시간으로 제한된 연장근로 단위를 '연'단위로 늘려 노동환경에 탄력적으로 대응해야 한다는 방침입니다. 이러한 방침을 하는 이유는 현행 근로기준법은 법정근로시간 1주 40시간에 연장근로시간 12시간을 넘지 못하도록 하고 있는데요. 주 52시간제 시행은 장시간 근로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지만 현장의 다양..
· 생활정보
기분 좋게 외출을 마치고 집으로 돌아왔는데 물건을 잃어버린 적 없으신가요? 놀라기도 하고 속상하기도 할 텐데요. 지갑이나 핸드폰처럼 중요한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더 당황스럽고 막막하죠. 그래서 이번 포스팅은 물건 잃어버렸을 때 분실물 찾기 방법과 유실물법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목차 1. 대중교통을 이용하다가 잃어버렸다면? 1) 버스에서 물건을 두고 내린 경우 2) 지하철에 물건을 두고 내린 경우 3) 택시에 물건을 두고 내린 경우 2. 음식점, 펜션 등에 맡긴 물건을 잃어버렸다면? 1) 「상법」 2) 「유실물법」 3) 문의사항 3. 잃어버린 물건들은 어떻게 되나요? 1) 국고 또는 금고에 귀속 2) 「유실물법」 1. 대중교통을 이용하다가 잃어버렸다면? 1) 버스에서 물건을 두고 내린 경우 - 해당 버스..
uras1
'생활정보' 카테고리의 글 목록 (5 Page)